Unreal Engine

마테리얼(Material) 제작 기초 - 베이스컬러 #1

ReFeJ 2023. 3. 20. 16:27

콘텐츠 드로어 혹은 브라우저 어느 장소에서든 생성이 가능하다.

하지만 난잡하게 있으면 나중에 찾기가 힘들다. 스타터 팩을 추가했다면 Materials에 우클릭을 하여 빈 마테리얼을 만들자.

마테리얼을 제작하면

이렇게 빈 마테리얼이 제작된다. (lever age kr  참고로 이 사이트 주소면서 나도 몰랐다.... 덕분에 매번 티스토리 검색함)

(글쓰는 사람은 나중에 삭제할 예정이니 마테리얼은 모두 lever age kr_00~99 라는 식으로 파일 만들 예정이다)

 

뷰포트나 그래프 에디터 그런 것들 설명은 넘어간다.(사실 안배워도 감으로도 익히는게 된다)

 

1. 마테리얼을 더블 클릭

 

하고나면 이런 창이 나온다. 나는 창에서 통계와 찾기결과 같은걸 추가했다

 

이제 Constant3Vector를 추가해 보자. 사실 처음은 직접 타이핑해서 치는게 좋지만 그럴 필요 없이 숫자키 3+LCK 눌러도된다.

다음은 출력을 베이스에 연결한 후 색상을 변경한다. 참고로 색 선택 툴이 나타나게 하려면 Constant3Vector의 위쪽 노란색도 주황색도 아닌(?)부분을 더블클릭하면 된다. 혹은 왼쪽 디테일 창 상수 옆을 누르던가 하면 된다.